감동임니다 ...왜 우리는 이렇게 하지 못했을가 성폭행 당한다고 전화까지 했는데 ....
<실화> <위치추적기술도 없었던 시대의 어느 소방관의 지혜가 구한 생명>
1953년 11월 13일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
새벽 3시에 소방단의 신고센터에 전화벨이 울렸다.
야간근무를 하고 있던 젊은 소방대원 에릭이 수화기를 들었다. "소방단입니다...."
그러나 거친 숨소리만 들릴 뿐,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 잠시 후에 여인의 흥분된 목소리가 들렸다.
"사람 살려요! 도와주세요! 몸을 움직일 수가 없어요. 피를 너무 많이 흘렸어요."
"진정하세요. 곧 가겠습니다. 위치가 어딥니까?" "모르겠어요."
"집에 계십니까?" "네, 그런 것 같아요."
"어딥니까? 집번지를 말씀해주세요." "모르겠어요.. 어지러워요. 출혈이 심해요."
"그렇다면 이름만이라도 대세요." "아무것도 기억나지 않아요. 머리를 심하게 부딪힌 것 같아요."
"수화기를 놓지말고 그쪽 전화번호도 혹시 붙어있지 않나 찾아보세요."
"아무것도 없네요. 빨리 와주세요."
"말씀해보세요. 당신이 있는 곳에서 무엇이 보입니까?"
"저... 유리창이 보이고, 밖으로 가로등이 보여요."
에릭은 생각을 정리했다.
그녀의 집은 길가에 있으며, 가로등이 창문으로 보이니까 3층 이하의 건물이 틀림없었다.
"어떻게 생긴 창문입니까?, 사각형입니까?" "아니에요. 긴 창이에요."
에릭은 그녀가 분명 시내 쪽에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방에 불이 켜져 있습니까?" "네, 불이 켜져 있어요."
에릭은 더 물어보고 싶었지만 더 이상 응답이 없었고 시간은 계속 흐르고 있었다.
그러나 에릭은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소방대원의 첫번째 임무는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일이라고 배웠다.
갑자기 그에게 기발한 생각이 떠올라 그것을 소방서장에게 알렸다.
서장은 그 생각에 반대했다.
"그건 미친 짓이야. 사람들은 아마 원자폭탄이라도 있는 줄 오해할걸.
수백만 명이 사는 도시에서 한밤중에 그럴 순 없어"
에릭은 애걸했다. "서장님, 더 늦기 전에 신속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좋다... 해보자! 나도 지금 그곳으로 가겠다
즉시 20대의 소방차가 사이렌을 울리며 출동했고 각 차량마다 특정한 구역을 순찰하도록 배당했다.
그 여인은 더이상 아무 말도 없었지만 에릭은 수화기로 그녀의 숨소리를 계속해서 듣고 있었다.
10분후 에릭이 서장에게 보고했다. "수화기에서 사이렌 소리가 들리기 시작합니다!"
서장은 곧바로 무전기를 통해 지시했다. "1번 차량, 사이렌을 끄시오." 그는 에릭에게 다시 연결했다.
"아직 사이렌 소리가 들립니다." 에릭이 말했다. 서장은 다시 "2번 차량, 사이렌을 끄시오."
12번 차량에 이르자 에릭은 탄성을 질렀다. "사이렌 소리가 이제 들리지 않습니다."
서장은 무전기를 통해 명령을 내렸다. "12번 차량, 다시 사이렌을 켜시오."
에릭이 말했다. "다시 사이렌 소리가 들립니다. 그러나 아까보다는 멀리 들립니다."
"12번 차량, 오던 길로 돌아가시오." 서장이 명령했다.
잠시 후 에릭이 보고했다. "점점 소리가 커집니다. 그 거리에 있는 것이 분명해요."
"12번 차량, 불빛이 비치는 창문을 찾으시오."
그러자 낙담한 목소리가 무전기로 흘러나왔다.
"수백개의 집에 불이 다 켜져 있습니다. 모두들 창문에서 밖을 내다보며 구경하고 있어요."
"확성기를 이용하라." 서장이 명령했다. 에릭은 수화기를 통해 확성기의 말을 들을 수 있었다.
"시민 여러분, 우리는 생명이 위독한 한 여인을 찾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불을 모두 꺼주십시오."
불이 모두 꺼졌고, 단 한 집의 창문에서만 불빛이 새어나왔다.
잠시후 에릭은 수화기를 통해 문이 부서지는 소리를 들었다. 그러고는 소방대원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녀는 의식이 없지만 맥박은 아직 뛰고 있다. 곧바로 병원으로 후송하겠다. 그녀는 무사할 것 같다."
엘렌 손달(그녀의 이름)은 잘 견뎌내서 의식을 되찾았다.
그리고 보름 후에는 그녀의 기억도 다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