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file
    - 얼마나 고마운지 몰라요 -

    첫 만남에서 밝은 얼굴로
    "이렇게 뵙게 돼 정말 기쁩니다"라고
    말하면 상대도 호감을 갖게 마련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대와 어느 정도 친해지면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알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냥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감사의 말을 듣고
    기뻐하지 않을 사람은 없다. "좀 힘들긴 하지만
    자네가 늘 곁에 있어서 열심히 일할 수 있네."
    "내 고민을 들어줘서 고마워. 늘 그렇게
    조언해주니까 얼마나 고마운지 몰라."

    - 감바 와타루의 《 그는 왜 모두가 좋아할까? 》 중에서 -

    입술로 복이 들고 납니다
    감사의 말이 늘 입술에 달려 있어야 복을 받습니다
    '내 마음을 알아주려니' 하고 입술을 닫으면 복도 닫힙니다
    "얼마나 고마운지 몰라요." 이 말 한 마디에 무궁한 복이
    담겨 있습니다. 나에게 오는 복, 그에게 가는 복
    사랑이 깊어지는 복, 관계가 회복되는 복
  • profile
    news.donga.com  
    제18대 대통령선거 출마 선언을 앞두고 있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이 고교생이던 만 17세 때 삼촌으로부터 부산시내의 고가 농지를 증여받은 것으로 드러나 미성년자에 대한 증여경위와 증여세 납부여부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사월간 ‘신동아’가 안 원장의 폐쇄등기부등본 등을 취재한 결과 안 원장의 삼촌 안영길 씨는 1979년 12월 26일 부산 부산진  
  • profile
    박정희의 100만$ 사용처

    이 글은 많은 사람이 읽어야할 글입니다.
    많은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부탁합니다.
    청와대 정문을 통해 ‘100만 달러’가 대통령 측에
    전달된 전례는 40여 년 전에도 한 번 있었다.
    월남전 무렵 박정희 대통령 시절이었다.
    돈을 들고 온 쪽은 당시 M16 자동소총 수출업체였던
    맥도날드 더글라스 회사 중역,
    돈을 받은 쪽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었다.
    데이빗 심프슨, 그가 회고한 100만 달러가 얽힌
    박 대통령과의 첫 만남은 이랬다.
    대통령 비서관을 따라 집무실로 들어갔다.
    아무리 가난한 나라이지만 그의 행색은
    한 국가의 대통령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고개를 들어 나를 바라보는 그의 눈빛을 보는 순간
    지금까지의 그의 허름한 모습이 순식간에 뇌리에서
    사라짐을 느낄 수 있었다.
    각하! 맥도날드사에서 오신 데이빗 심프슨 씨입니다.
    비서가 나를 소개하자 대통령은
    ‘손님이 오셨는데 잠깐이라도 에어컨을 트는 게 어떻겠나’고
    말을 꺼냈다.
    (박 대통령은 평소에도 집무실과 거실에 부채와 파리채를
    두고 에어컨은 끄고 지냈다)
    각하! 이번에 한국이 저희 M16 소총의 수입을
    결정해 주신 데 대해 감사 드리고 국방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것은 저희 회사가 드리는 작은 성의…’라는 인사말과 함께
    준비해온 수표가 든 봉투를 대통령 앞에 내밀었다.
    ‘흠, 100만 달러라. 내 봉급으로는 3代(대)를 일해도
    못 만져볼 큰돈이구려.’대통령의 얼굴에 웃음기가 돌았다.
    순간 나는 그 역시 내가 (무기 구매 사례비 전달로) 만나본 다른 여러 나라의 국가 지도자들과 다를 것이 없는 사람이구나 라고 생각했다.
    나는 다시 한 번 ‘각하! 이 돈은 저희 회사에서 보이는
    관례적인 성의입니다. 그러니 부디…
    그때 잠시 눈을 감고 있던 그가 나에게 말했다.
    ‘여보시오 한 가지만 물읍시다.’
    ‘네. 각하!’
    ‘이 돈 정말 날 주는 거요 그러면 조건이 있소.’
    ‘네. 말씀하십시오.’
    대통령은 봉투를 다시 내 쪽으로 내밀며 이렇게 말했다.
    ‘자, 이제 이 돈 100만 달러는 내 돈이요.
    내 돈이니까 내 돈으로 당신 회사와 거래를 하고 싶소.
    당장 이 돈만큼 총을 더 가져오시오.'
    '당신이 준 100만 달러는 사실은 내 돈도 당신 돈도 아니요.
    이 돈은 지금 내 형제, 내 자식들이 천리타향(독일광부)에서
    그리고 멀리 월남 땅에서 피 흘리고 땀 흘려 바꾼 돈이요.
    내 배 채우는 데는 안 쓸 거요.’
    ‘알겠습니다. 각하! 반드시 100만 달러어치의 소총을
    더 보내 드리겠습니다.’
    나는 그의 얼굴에서 한 나라의 대통령이 아닌
    아버지(國父=국부)의 모습을 보았다….’

    옮겨온 글입니다.
  • profile
    Duck family crossing a motorwayA heart-stopping drama played out on a Toronto-area highway when a mother duck and her flock of baby ducklings tried to scoot ... 

+ Recent posts